SaevOps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4 본문
반응형
RAID
- 여러 개의 디스크를 묶어 데이터 read, write 하는 방식
- 성능 향상, 안정성의 증대, 효율성, 가용성의 증대를 하는데 쓰이는 기술
- 디스크 I/O 성능 향상
- 디스크 용량 증설의 용이성
- 종류 : RAID 0~6 / 1+0
File System
- OS에서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통칭
- 파일을 저장할 클러스터를 관리하고 파일명에 대한 규칙, 데이터의 저장과 검색 관장
- 클러스터 :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
- 연속 할당 방식 사용
- 파일의 시작위치, 크기를 가지고 데이터 저장
- 고전적이고 단순하지만 저장 장치 크기 제약, 데이터 공간에 대한 낭비 존재
- 비연속 할당 방식
1) 연결 할당 방식 - 링크 구조로 구성
2) 색인 할당 방식 - 색인 구조로 구성 , 최근의 많은 파일 시스템이 비연속 할당 방식에 색인 할당 방식 사용
- 로컬 파일 시스템의 단점
1) 용량의 한계
2) 장애 복구의 한계
3) 다양한 접근 경로를 제공하지 않는다.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 CIFS)
1)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시스템에 접근
2) 용량을 높이려면 고가의 인프라 비용 발생
- 분산 파일 시스템(HDFS, ADF, CODA...)
1) 용량의 한계 극복
2) 장애시 복구 가능
3) 다양한 접근 경로 제공
4) 파일을 쪼개서 노드에 분산 & 복제
- 분산 파일 시스템(Object Storage)
스토리지 타입
- 스토리지 타입은 Block, Object 2가지 타입으로 나뉠 수 있음
- 각 타입 별 고유의 기능과 제한 사항이 존재
1) Block Storage
- 데이터를 block 단위로 쪼개고, OS의 파일시스템을 기반으로 파일을 계층화하여 저장
- 데이터 접근을 위해서 OS 내부에 마운트 필요하며, 마운트를 위해 파일 시스템 생성 필요
- 대용량(PB 이상) 데이터 자장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정형 데이터 저장에 적합
2) Object Storage
- 오브젝트(데이터, 데이터 조각)를 비 계층 구조에 저장
- 모든 오브젝트는 데이터와 고유식별번호, 메타데이터를 포함되며, 오브젝트 별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호출
- http(s) 기반의 API 제공
-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저장 및 보관에 적합
- 확장성과 속도, 그리고 가격 측면에서 장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스토리지 상품
1) Block Storage
- 서버에 마운트해서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 OS의 파일시스템을 기반으로 파일을 계층화하여 저장
- Block Storage 세부 스펙
- 볼륨 타입은 HDD / SSD
- 기본 스토리지의 경우 50GB(리눅스/윈도우) 100GB(윈도우)로 고정
- 볼륨 용량은 10~ 2,000GB 선택 가능
- 2,000GB 이상의 볼륨이 필요한 경우 리눅스 LVM, 윈도우 스팬 볼륨 구성
- 1대의 VM은 최대 16개의 볼륨 attach가능(OS 스토리지 포함)
- 볼륨 detach 기능 제공
- VM에 이미 할당 된 볼륨에 대하여 detach 기능 제공
- 동일 볼륨을 필요에 따라 detach하여 동일 계정의 다른 VM에 할당하여 사용 가능
- Detach 할 수 있는 VM 상태
- VM shutdown 상태
- VM running -> VM 내부에서 볼륨 umount
- 볼륨 upsizing 기능 제공
- 볼륨 생성 시 할당 된 용량 증설이 필요할 경우에 대비 용량 증설 기능 제공
- upsizing만 기능
- 기본 스토리지 (=root볼륨)에 대한 resizing은 불가능
- upsizing이 가능한 볼륨 상태
1) 볼륨 available 상태 ( =VM에 할당되지 않은 상태)
2) 볼륨이 할당된 VM의 상태가 Shutdown일때
- 볼륨 live snapshot 가능
- Zone 간 스토리지 팜이 분리되어, 다른 존 간의 공유 불가능(스냅샷 기능을 이용하여 해결 가능)
Snapshot
- 현 시점 볼륨 데이터를 이미지화 하는 기능
- NCP는 VM 대상의 내서버이미지와 볼륨 대상의 스냅샷 구분 제공
- 스냅샷 이미지를 이용해서 신규 볼륨 생성 가능
- 스냅샷 이미지 이용하는 경우
1) 리전 간 동일 데이터의 볼륨 생성이 필요할 때 "리전 간 복제" 기능을 이용해서 이전 가능
2) 존 간 동일 데이터 볼륨 생성 가능
3) 볼륨 타입 (HDD/SSD) 변경 가능
4) 볼륨 사이즈 변경 불가능 (-> 볼륨 사이즈의 경우 볼륨 detach 후 upsizing)
5) root 볼륨 이슈 발생 시 (커널 패닉 등의 OS 이슈로 인해 VM 정상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스냅샷 이미지를 이용해 root 볼륨 데이터 복원 시 사용 가능
Object Storage
- AWS S3 Compatibility API 제공 통해서 써드파티 솔루션 사용 가능
- 콘솔, RESTful API, SDK, CLI를 통해서 파일 관리
- 저장된 파일은 각 파일마다 고유한 접근 URL이 부여되어 인터넷 상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음
- 버킷 단위, 오브젝트 단위의 접근 권한 설정 기능 제공
- CDN+/GCDN의 Origin, CLA의 logging, VOD Transcoder 등 NCP 내 상품들과 연동 가능
- Sub Account 연동을 통한 권한 관리 기능 제공
NAS
- 다수의 VM이 공유 가능한 네트워크 볼륨 디바이스
- 용량은 500~ 10,000G으로 생성 가능 / 100GB 단위로
- NFS/CIFS 프로토콜 제공, 이기종 OS 간 공유 사용 위해 Samba 등의 추가 지원 필요
- Live resizing 가능
- 스냅샷 기능 제공 : 즉시 / 스케쥴(시점 복원 기능 제공)
- 모니터링 기능 제공(볼륨 사용량(%))
- Custom IP에 NCP 내 VM 사설IP 등록을 통해 타 계정 VM 간 공유 사용 가능
- 접근 제어
1) NFS의 경우 IP로 접근 제어
2) CIFS의 경우 ID와 패스워드로 접근 제어
NAS Snapshot
1) NAS에 할당된 용량중 일정 부분을 스냅샷 공간으로 할당
2) Default는 스냅샷 미생성
3) 스냅샷은 스냅샷을 생성하는 시점에 NAS 스토리지에 있는 데이터에 대해 스냅샷 생성
4) 스냅샷은 최대 7일간 보관
5) 자동 생성 및 즉시 생성 가능
Archive Storage
- AWS Glaicer에 대응되는 제품
- Cold 데이터 보관 및 백업 아카이빙 데이터 저장을 주 목적
- 저장 비용이 Object Storage 대비 저렴
- API 요청 비용은 Object Storage 대비 비쌈
- 콘솔, API(swift,s3),CLI,SDK를 통해 데이터 관리 가능
- 데이터 최소 보관 기간없이 사용 가능
- Sub Account 연동을 통한 권한 관리 기능 제공
Backup
- 파일, DBMS(이미지 빌트인 DB)에 대한 백업 서비스
- 백업 요청서를 작성하여 신청하고 서버에 Agent 설치 필요
- 백업 수행 주기로 8가지 옵션 제공
(1회성, 1일 1회 전체백업, 1주 1회 전체백업, 1주 1회 전체백업 & 매일 증분 백업 등)
- 최대 52주까지 백업 파일 보관 가능
- 백업 결과를 일 단위 결과 리포트로 전달
Data Teleporter
- AWS snowball과 대응되는 상품
- 대용량 데이터 이전을 위한 전용 어플라이언스 장비 대여 서비스
- 대용량 데이터 / 보안적으로 안전한 데이터를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서비스
- 어플라이언스를 통한 대용량 데이터의 신속한 이전 (이더넷 속도 1Gbps, 10Gbps, 40Gbps 지원)
- 1대 100TB 데이터 저장 공간 지원
-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지원(NFS,FTP,SMB)
- 이전에 소요되는 트래픽 비용 절약(데이터 공중망 보안이슈, 대용량 데이터 빠르게 전송)
- 스토리지 암호화, Data Erasing과 같은 기술 적용으로 안전한 데이터 이전
반응형
'클라우드 > NB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P] 네이버클라우드 프로젝트 아키텍처 (0) | 2023.09.21 |
---|---|
[NBP] IPSec VPN 관련 용어 및 설정화면 (0) | 2023.06.28 |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3 (0) | 2023.02.23 |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2 (0) | 2023.02.22 |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1 (0) | 2023.02.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