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evOps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2 본문
반응형
스토리지
서버 생성시 OS 영역은 50GB, 혹은 100GB로 서버가 생성
- 서버 이미지 생성시 생성 시간 최소화 및 다양한 Operation시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
- Linux OS의 경우 50GB, Windows OS의 경우 100GB로 생성
기본 컨셉
- 기본적인 어플리케이션은 OS 영역에 설치, 데이터는 추가 스토리지에 저장
- 시스템 Crash 발생시 데이터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빠른 복구가 가능하도록 함
스토리지 스펙
- 스토리지당 10GB~ 2TB
- 서버 1대당 최대 16개의 스토리지 사용 가능 (OS 스토리지 1개 + 추가 스토리지 15개)
스토리지 detach 기능
- 스토리지를 서버에서 해제(detach)하여 다른 서버에 연결(attach)하는 기능
스토리지 단위로 스냅샷 생성
내서버 이미지와 다른 점
- 내서버 이미지는 서버 단위로 스냅샷을 생성하는데 반해 스냅샷은 스토리지 단위로 스냅샷을 생성
- 스냅샷은 추가 스토리지로만 변환 가능
용도
- OS영역의 문제로 부팅이 안되는 상황에서 OS 영역의 데이터를 복구해야 할 경우
- OS영역의 스토리지를 스냅샷으로 생성
- 해당 스냅샷을 다른 서버의 추가 스토리지로 변환
- 해당 서버에서 원하는 데이터 추출
외부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 공인 IP를 할당하여 접속
- 포트 포워딩을 통한 접속(Classic만)
- VPN을 이용한 접속
공인 IP의 리소스 종속성
- VPC 환경에서는 공인 IP는 리전에 종속
- 존 구분 없이 공인 IP 이용 가능
- Classic 환경에서는 공인 IP는 존에 종속
- 특정 존에 종속되는 리소스는 다른 존에서 접근이 불가능
- 즉, KR-1 Zone에 있는 공인 IP는 KR-2 Zone에서 이용 불가능
공인 IP는 서버에 종속적이지 않으며, 공인 IP를 서버에 맵핑하는 구조
Init Script
서버 생성시 OS 설치 후 post script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수행
Linux는 Shell, Python, Perl 스크립트로, Windows는 VB 스크립트로 작성 가능
ACG
서버 방화벽 역할
- Default ACG와 Custom ACG로 구분
- 프로토콜은 TCP, UDP, ICMP중 선택, 접근 소스는 IP(CIDR), ACG Group 설정 가능
Classic | VPC | |
최대 생성 개수 | 계정당 100개 | VPC당 500개 |
적용 대상 | 서버 | 서버 NIC |
적용 ACG 개수 | 서버당 5개 | NIC당 3개 |
속성 | 맵핑 정보 변경 불가 | 맵핑 정보 변경 가능 |
의존성 | 의존성 없음 | VPC에 의존 |
Rule 속성 | Inbound | In/Out Bount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버 네트워크 특징
- 서버 생성 시, 초기에 Network Interface는 하나가 생성됨
- IP Alias 허용하지 않음
- 추가 NIC 허용하지 않음
다양한 환경
- HA 구성이 필요한 경우 VIP가 필요
- VPN으로 연결하는 경우 Peer 네트웍은 대역폭으로 선언되어야 함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방안
- 새로운 NIC를 생성할 수 있게 하되 해당 NIC들만의 네트웍을 구성
- 해당 네트웍은 192.168.X.0/24 대역을 생성할 수 있도록 Private Subnet 기능 제공
Private Subnet의 특성
- 192.168.X.0/24 대역만 사용 가능 (255.255.255.0)
- 각 존 당 하나의 Private Subnet을 만들 수 있다.
- ACG가 적용되지 안흔다.
사용 방법
- Private Subnet에서 대역 설정
- Network Interface에서 서버에 해당 대역의 IP 할당 (Network Interface에서 설정을 해야 NIC 추가 가능)
VPC 플랫폼에서의 서버 네트워크 구성
- 서버 생성 시, 최대 3개의 Network Interface 생성 가능
- 각 NIC에는 Secondary IP 부여 가능
- 하나의 Network Interface에는 최대 5개까지 Secondary IP를 추가할 수 있음
- 즉, 하나의 NIC이 가질 수 잇는 IP개수는 6개(Primary IP 1개, Secondary IP 5개)
- 멀티IP 이용을 위해선 부가적인 network script 작성 및 적용 필요
Secure Zone
- 금융정보, 개인정보와 같이 격리되어야 하고 모니터링이 되어야 하는 서버를 위치시키기 위한 존
Secure Zone 특징
- 인터넷 통신 불가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내부의 허용된 서버와의 통신만 가능
- 서버 업데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도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내부에 허용된 서버를 통해서만 가능
- Secure Zone은 망 방화벽을 통해 Secure Zone내의 서버를 외부로부터 보호
- 방화벽은 Inbound 뿐만 아니라 Outbound 트래픽까지 제어
- 로그 저장 기능 (로그는 CLA에 저장)
반응형
'클라우드 > NB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4 (0) | 2023.02.24 |
---|---|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3 (0) | 2023.02.23 |
[NCP] NCP 자격증 시험 정리 200(Compute & Storage) -1 (0) | 2023.02.21 |
[NBP] NAS/PVC 생성 (0) | 2023.02.15 |
[NBP] NKS 대시보드 구성 (0) | 2023.02.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