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mariaDB (6)
SaevOps
이중화 설정 ( Master - Slave )을 하고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MasterDB가 과부하가 걸리거나 에러가 뜨는 경우가 생겨 이중화 설정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Was에서 MasterDB와 주고받던 것들을 SlaveDB가 대신 처리할 수 있도록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때 과정들은 다음과 같다. 1. 이중화 중지 ( 에러가 난다면 대부분 자동으로 중지되어 있음 ) 2. SlaveDB의 Read_only 설정 해제 3. Was 설정 변경 4. 운영시간이 지나거나 운영 정지가 된 후 기존 MasterDB 백업/복구 5. 기존 MasterDB를 SlaveDB로 설정할 것 - Master와 Slave의 성능이 차이가 난다면 Slave데이터를 Master에 복구시키고 기존 Master-slav..

이중화 Master-Slave 구조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Master-Slave ( backup ) 우선 그저 데이터를 백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자주 비효율적이라서 사용하지는 않는 구조이지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Master-Slave ( ReadOnly ) 우리가 대체적으로 사용하는 Master_Slave 구조입니다.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READ는 Slave에서 나머지는 Master에서 수행하는 구조입니다. 다음은 마스터 슬레이브 구조를 만들기 위한 명령어들입니다. Master DB 우선 마스터 DB에 테스트하기 전에 데이터를 집어넣도록 하겠습니다. mysql -uroot -p create database test; use test; create table Users ..
모든 사용자 권한 확인 select host, user from user; 사용자 추가 create user 사용자ID create user 사용자ID@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계정 삭제 drop user 'UserID'@'IP'; 기존에 사용하던 계정에 외부 접근 권한 부여 create user UserID@'%' identified by 'password'; grant all privileges on DB.Table to UserID@'%' identified by 'password' grant all privileges on *.* to UserID@'%' identified by 'password'; flush privileges; 기존에 사용하던 계정의 권한 회수..

본 게시물은 톰캣, 마리아 디비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시작됩니다.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설치하고 오시길 바랍니다! 톰캣 설치 : [CentOS7] MariaDB설치 yum install (tistory.com) [CentOS7] MariaDB설치 yum install 시작하기 앞서 본 게시글은 VirtualBox로 CentOS7 환경에서 만들어졌음을 알립니다. VirtualBox _ CentOS7 가상머신환경으로 시작합니다. Window환경) putty를 사용하면 복사 붙여넣기 하기 용이합니다. ( 보통 shyen.tistory.com 마리아 디비 설치 : [CentOS7] MariaDB설치 yum install (tistory.com) [CentOS7] MariaDB설치 yum in..

시작하기 앞서 본 게시글은 VirtualBox로 CentOS7 환경에서 만들어졌음을 알립니다. VirtualBox _ CentOS7 가상머신환경으로 시작합니다. Window환경) putty를 사용하면 복사 붙여넣기 하기 용이합니다. ( 보통 실무에선 putty를 많이 사용합니다. ) - 필자 Mac환경) Mac같은경우는 cmd에서 편하게 ssh 접속하시면 됩니다. ( 맥 환경 강추ㅠ) 1. MariaDB설치 1) MariaDB 설치 yum install -y mariadb-server 먼저 톰캣을 yum을 이용하여 설치합니다. 이때 만약 권한문제가 생긴다면, $ su root 명령어를 통해 root 사용자로 변경하여 실행합니다. yum-auto로 시작하는 사용중이라는 에러메시지가 뜰 시 $ kill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