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웹페이지 접속 과정
1. 사용자가 DNS 서버에 url을 보내 웹페이지 정보와 ip정보 조회를 요청한다.
DNS 서버는 4가지로 나뉘며 1번부터 차례대로 검색한다.
1) Local DNS Server ( 통신사 제공 DNS 서버 )
2) Root Nameserver ( 최상위 도메인에 대한 네임서버 반환 )
3) TLD Nameserver ( 일반 최상위 도메인_(com,net,org...)과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_(kr, uk, fr..) 포함 )
4) Authoritative Nameserver ( 실제 DNS 리소스 레코드 관리, IP 주소 반환 )
2. DNS Server에서 Web Server에 HTTP 요청을 보낸다.
< HTTP Request >
1) GET/HTTP/1.1 : HTTP전송 방법, 프로토콜 정보
2) Host : 요청 서버 주소
3) User-Agent : 브라우저 정보
4) Accept : 컨텐츠 타입
5) Accept-Language : 언어
6) Accept-Encoding : 인코딩 방법
7) Connection : 접속 유지 정보
8) Upgrade-Insecure-Requests : 암호화 여부
9) Content-Type : 컨텐츠 유형
10) Content-Length : 본문 크기
3. Web Server에서 Browser에 웹사이트 정보를 보내준다.
< HTTP Response >
1) HTTP/ 1.1 : 프로토콜 버전, 응답 상태
2) Access-Control-Allow-Origin : 타 사이트 접근 제한
3) Connection : 접속 유지 정보
4) Content-Encoding : 미디어 타입 압축 방법
5) Date : 헤더 제작 시간
6) Etag : 버전 리소스 식별자
7) Keep-Alive : 타임아웃과 최대 요청 개수 정보
8) Last-Modified : 캐시 관련 변수
9) Server : 프로그램 이름
10) Set-Cookie : 쿠키
11) Transfer-Encoding : 인코딩 형식 지정
12) X-Frame-Options : X-frame 허용 여부
4. Browser에서는 사용자에게 받은 웹페이지의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지를 보여준다.
Body에는 HTML 정보 저장
-> 브라우저에서 HTML을 변환 후 페이지로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