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5-02 01:37
관리 메뉴

SaevOps

[네트워크]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2일차 본문

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관리사 2급 - 2일차

세브웁스 2022. 8. 19. 12:00
반응형

정보 전송방식

 

에러 종류와 원인

1. 감쇠 현상

전송신호가 전송매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신호세기가 약해지는 현상

해결) 아날로그 - 증폭기 /  디지털 - 리피터

 

2. 지연 왜곡

전송매체를 통한 신호전달이 주파수에 따라 속도를 달리하여 유발되는 신호손상

 

3. 잡음

1) 백색 잡음(열잡음) : 가청 주파수의 모든 진동 스펙트럼을 고르게 포함한 잡음

     - 열의 온도에 의해 발생

2) 충격 잡음 : 전송 시스템이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높은 진폭의 잡음 

     - 기계적인 충격 / 낙뢰 등에 의해 발생

3) 누화 잡음 : 상호 인접한 전송매체의 전자기적 유도 작용

4) 상호변조 잡음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똑같은 전송 매체 공유 시 발생

    - 주파수들의 신호 차이로 발생

 

4. 에코

선로상에 임피던스의 변화가 있을 때 약해진 신호가 송신 측으로 돌아오는 것

 

5. 위상지터

연속적으로 위상이 변하여 위상 사이의 편차가 커지는 것

 

전송 에러 제어 방식

1. 반복 전송방식

송신 측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2번 이상 연속하여 전송 후 수신 측에서 수신 데이터 비교

 

2. 궤환 전송방식

전송된 데이터와 수신 측을 경유하여 궤환 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검사하는 방식 (낭비 발생)

 

3. 전직 오류 수정(FEC)

정보 비트 외에 오류의 검출 및 정정이 가능한 부가 코드를 함께하여 전송 / 이 부호를 이용하여 오류 검출

예) 해밍 코드 / 순환 잉여 검사(CRC) 등

 

4. 후진 오류 수정(BEC)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 발생 시 수신 측에서 재전송 요구

예 ) 자동 반복 (ARQ) 등

 

ARQ 종류

1. 정지-대기 ARQ

송신 측이 하나의 블록을 전송한 후 수신 측으로부터 응답(ACK/NAK)를 기다리는 방식

 

2. 연속적 ARQ

1) Go-BACK N ARQ

여러 블록을 연속하여 전송 / 수신측으로부터 NAK 신호를 받으면 에러가 발생한 블록 이후 모든 데이터 재전송

2) 선택적 재전송 ARQ

여러 블록을 연속하여 전송 / 수신측으로부터 NAK신호를 받으면 에러가 발생한 블록만 선택하여 재전송

 

3. 적응적 ARQ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블록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전송

 

에러 검출 방식

1. 페리티 검사

전송되는 문자 마다 1개의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EVEN / ODD 검사방법으로 검출

 

2. CRC(순환 중복검사)

블록마다 검사용 코드를  부가시켜 전송하는 방식

데이터를 연속으로 전송할 경우 집단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

주로 동기식 전송에서 사용

 

3. 해밍 코드 방식

에러를 검출하여 교정하는 코드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비트 착오를 검출하여 1비트 착오를 정정하는 부호 방식

고속의 동기식 전송에서 사용

 

다중화기

하나의 통신회선을 공유하여 여러 개의 단말기가 컴퓨터에 접속

신호 전송 시 수신 측에서 신호 분리

 

1)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대역폭으로 나누어 각 대역폭에 서로 다른 반송파를 실어 동시에 전송

가드밴드 필요(잡음 차단) / 모뎀이 필요 없기에 저렴 / 저속 전송

 

2) 시분할 다중화방식(TDM)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을 나누어 각 시간대에 서로 다른 신호 전송 (타임 슬릇)

1)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전송할 내용 유무에 상관없이 동일한 타임 슬릇 할당(낭비발생)

2)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전송할 내용 유무에 따라 타임 슬릇 할당(효율적)

 

3) 역다중화기

고속의 두 개의 낮은 속도를 가진 선로로 변환하여 음성 대역의 변복조기를 이용하여 전송

수신 측에서 다시 원래의 고속의 속도를 만듦

 

4) 집중 화기

여러 개의 채널을 소수 회선으로 공유시키는 방식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