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4-30 22:32
관리 메뉴

SaevOps

[CentOS7] Tomcat 설치 yum install 본문

Opensource

[CentOS7] Tomcat 설치 yum install

세브웁스 2022. 3. 17. 14:54
반응형

시작하기 앞서 본 게시글은 VirtualBox로 CentOS7 환경에서 만들어졌음을 알립니다. 

 

VirtualBox _ CentOS7 가상머신환경으로 시작합니다.

Window환경) putty를 사용하면 복사 붙여넣기 하기 용이합니다. ( 보통 실무에선 putty를 많이 사용합니다. ) - 필자

Mac환경) Mac같은경우는 cmd에서 편하게 ssh 접속하시면 됩니다. ( 맥 환경 강추ㅠ)

1. Tomcat 설치

1) Tomcat 설치

yum install -y tomcat

먼저 톰캣을 yum을 이용하여 설치합니다.

이때 만약 권한문제가 생긴다면,

$ su root

명령어를 통해 root 사용자로 변경하여 실행합니다.

yum-auto로 시작하는 사용중이라는 에러메시지가 뜰 시

$ kill -9 (PIDnumber)

명령어를 통해 사용중인 PID 강제로 종료합니다.

 

2) 방화벽 허용

이후 성공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이제 방화벽을 열어주어야 합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80/tcp
firewall-cmd –reload
systemctl start tomcat
systemctl enable tomcat

 

1. 8080포트 방화벽 열어주기

2. 방화벽 변경 사항 적용

3. 톰캣 시작

4. 시스템시작시 톰캣 자동실행

 

3) 홈페이지 제작 및 테스트

 톰캣을 윈도우에서 알집파일을 받아 해제할때와는 다르게 기본적인 경로에 아무 파일이 없습니다.

이것때문에 고생을 많이 헀었는데... 원래는 톰캣 기본사이트가 똭 뜨면서 아 작동이 됐구나! 하는데 404가 뜨는것도 아니고 그냥 아무것도 뜨지않아서 당황을 했었습니다. 이는 yum으로 설치할 때 저 경로에 기본적인 파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본 설정상으로 tomcat/webapps/root에 index.html이 존재한다면 그 파일을 읽어 서버에 보여줍니다.

본인의 경로를 모를때에는

$ find / -name tomcat

을 통해 톰캣의 경로를 파악하고 webapps 폴더의 유무를 판단하고 위치를 기억하면 됩니다.

 

mkdir /usr/share/tomcat/webapps/ROOT
sudo bash -c 'echo This is my Web-Server1 running on VM >> /usr/share/tomcat/webapps/ROOT/index.html'
systemctl restart tomcat
curl localhost:8080

콘솔창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웹페이지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vm 환경의 IP가 192.168.56.108 이기에 뒤에 8080포트를 붙여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Opensour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nginx 설치  (0) 2022.03.24
[CentOS7] Tomcat MariaDB 연동  (0) 2022.03.18
[CentOS7] Apache Tomcat 연동  (0) 2022.03.17
[CentOS7] MariaDB설치 yum install  (0) 2022.03.17
[CentOS7] Apache설치 yum install  (0) 2022.03.17
Comments